Jump to content

Hubs/ko: Difference between revisions

From Meta, a Wikimedia project coordination wiki
Content deleted Content added
No edit summary
FuzzyBot (talk | contribs)
Updating to match new version of source page
 
(25 intermediate revisions by 2 users not shown)
Line 1: Line 1:
<languages/>
<languages/>
{{notice|1=운동 헌장 초안 위원회는 귀하가 검토할 수 있는 다가오는 위키미디어 운동 헌장의 일부로 '''[[Movement Charter/Content/Hubs|위키미디어 허브에 대한 초안]]'''을 가지고 있습니다. 토론 페이지에서 초안에 대한 피드백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Hubs/Header}}
{{Hubs/Header}}
{{Hubs updates}}

'''허브(Hubs)'''는 한개 이상의 위키미디어 운동 자원봉사 공동체를 지원하는 단위 조직의 이름입니다. 이것은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Recommendations/Ensure Equity in Decision-making#Enable the empowerment of local communities|운동 전략 권고안]]의 [[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Initiatives|하나의 이니셔티브]]입니다. 허브라는 아이디어는 권력을 공유하려는 목표에 부응하여 더 많은 의사 결정을 관련된 커뮤니티에 더 가깝게 이동시킵니다. 또한 위키미디어 재단에 중앙 집중화된 현재의 모델과 비교하여 지역 또는 테마 내에서 작업할 때 더 큰 효율성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허브(Hubs)'''는 한개 이상의 위키미디어 운동 자원봉사 공동체를 지원하는 단위 조직의 이름입니다. 이것은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Recommendations/Ensure Equity in Decision-making#Enable the empowerment of local communities|운동 전략 권고안]]의 [[Special:MyLanguage/Movement Strategy/Initiatives|하나의 이니셔티브]]입니다. 허브라는 아이디어는 권력을 공유하려는 목표에 부응하여 더 많은 의사 결정을 관련된 커뮤니티에 더 가깝게 이동시킵니다. 또한 위키미디어 재단에 중앙 집중화된 현재의 모델과 비교하여 지역 또는 테마 내에서 작업할 때 더 큰 효율성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Line 9: Line 12:
허브는 그들의 필요, 성숙함, 그리고 자원에 따라서 특정한 임무를 채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능한 역활에는: 법률 지원, 자원 할당(보조금), 역량 강화, 그룹 간 조정, 기술 개발, 멘토링, 평가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보조금 할당과 같은 일부 역활에는 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른 역할은 법인의 지원을 받지 않고 전적으로 자원 봉사 기반인 허브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허브는 그들의 필요, 성숙함, 그리고 자원에 따라서 특정한 임무를 채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능한 역활에는: 법률 지원, 자원 할당(보조금), 역량 강화, 그룹 간 조정, 기술 개발, 멘토링, 평가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보조금 할당과 같은 일부 역활에는 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른 역할은 법인의 지원을 받지 않고 전적으로 자원 봉사 기반인 허브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span id="Type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Types ==
== 종류 ==
[[File:Video on Regional and Thematic Hubs, by Asaf Bartov, November 2021.webm|thumb|허브 소개(동영상)]]
</div>
<span id="Regional_hubs"></span>
[[File:Video on Regional and Thematic Hubs, by Asaf Bartov, November 2021.webm|thumb|<span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Introduction to hubs (video)</span>]]
=== 지역 허브 ===
=== 지역 허브 ===


지역 허브는 특정 지역의 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활동, 도구 및 정보를 맥락화할 수 있습니다. 권장 사항에는 "적절한 리소스가 제공되면 가맹 단체들의 역량 구축, 지식 이전 및 조정에 협력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될 것입니다."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지역 허브는 특정 지역의 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활동, 도구 및 정보를 맥락화할 수 있습니다. 권장 사항에는 "적절한 리소스가 제공되면 가맹 단체들의 역량 구축, 지식 이전 및 조정에 협력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될 것입니다."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span id="Thematic_hubs"></span>
=== 주제별 허브 ===
=== 주제별 허브 ===


주제별 허브는 글로벌 주제별 영역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제별 허브는 권장 사항에서 "공동의 목표가 해결책의 혜택을 받는 운동 전반에 걸쳐 전문화 및 작업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주제는 또한 [[$1|초기의 초안]]에서 "전문 분야"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일부 언급된 예로는 "옹호, 역량 강화, 파트너십, 연구 등"이 있습니다.
주제별 허브는 글로벌 주제별 영역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제별 허브는 권장 사항에서 "공동의 목표가 해결책의 혜택을 받는 운동 전반에 걸쳐 전문화 및 작업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주제는 또한 [[$1|초기의 초안]]에서 "전문 분야"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일부 언급된 예로는 "옹호, 역량 강화, 파트너십, 연구 등"이 있습니다.


언어 허브는 지역 및 주제 허브를 보강해야 합니다. 언어는 분산된 커뮤니티(동일한 언어 공유) 간의 다양성, 포용성 및 대표성을 보장하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언어는 아마도 이 운동의 가장 중요한 문화적 요소일 것입니다. 한 국가에 여러 공식 언어가 있고 한 언어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Linguistic hubs ===
</div>


<span id="Events"></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행사==
Linguistic hubs should augment regional and thematic hubs. Language is of utmost importance to guarantee diversity, inclusion and representation amongst dispersed communities (sharing the same language). Language is perhaps the most important cultural component of the movement. It often occurs that one country has multiple official languages, and one language is spoken in multiple countries.
</div>


허브에 관한 [[Hubs/Events|행사 목록]]:
{{:Hubs/Events}}
<span id="History"></span>
== 역사 ==
== 역사 ==


Line 39: Line 43:
전략 전환 동안 허브에 대한 몇 가지 논의가 있었습니다.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Transition/Global Conversations/Report/21-22 November minutes#Initiative 25 - Regional & thematic hubs|11월]],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Transition/Discuss/Cluster D#Events summary|12월]] 및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Transition/Follow-up events/Cluster D|1월]]에 허브 논의에 대한 보고서를 참조하세요.
전략 전환 동안 허브에 대한 몇 가지 논의가 있었습니다.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Transition/Global Conversations/Report/21-22 November minutes#Initiative 25 - Regional & thematic hubs|11월]],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Transition/Discuss/Cluster D#Events summary|12월]] 및 [[Special:MyLanguage/Strategy/Wikimedia movement/2018-20/Transition/Follow-up events/Cluster D|1월]]에 허브 논의에 대한 보고서를 참조하세요.


<span id="See_also"></span>
<div lang="en" dir="ltr" class="mw-content-ltr">
== See also ==
== 같이 보기 ==
* [[Special:MyLanguage/Hubs/Implementation/Regional Hubs Draft Plan|허브/구현/지역 허브 초안 계획]]
</div>

* [[Hubs/Implementation/Regional Hubs Draft Plan]]
{{Movement Strategy navbox}}


[[Category:Hubs{{#translation:}}]]
[[Category:Hubs{{#translation:}}]]

Latest revision as of 16:18, 28 July 2023

허브에 대한 최신 뉴스 (기여!)


허브(Hubs)는 한개 이상의 위키미디어 운동 자원봉사 공동체를 지원하는 단위 조직의 이름입니다. 이것은 운동 전략 권고안하나의 이니셔티브입니다. 허브라는 아이디어는 권력을 공유하려는 목표에 부응하여 더 많은 의사 결정을 관련된 커뮤니티에 더 가깝게 이동시킵니다. 또한 위키미디어 재단에 중앙 집중화된 현재의 모델과 비교하여 지역 또는 테마 내에서 작업할 때 더 큰 효율성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됩니다.

현재까지 허브에 대한 정의, 임무, 그리고 역활에 대한 명확한 설명은 없었습니다. 이것들은 곧 작성될 운동 헌장에서 정의될 예정입니다. 헌장의 초안이 곧 작성됨에 따라 이러한 역할과 책임은 현재 논의를 하고 있습니다. 연구, 토론 또는 계획을 진행 중인 허브 프로젝트 가능성도 있습니다.

허브는 지역적(지리적, 예: 중부 동유럽) 및 주제별로 상상됩니다. 기존 기관의 개선, 가맹단체 간의 협업 또는 특정 목적을 위해 형성된 새로운 구조가 될 것입니다. 보조성 원칙에 따라 "서비스를 제공하는 커뮤니티 및 조직의 요구를 식별하고 옹호"함으로써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허브는 그들의 필요, 성숙함, 그리고 자원에 따라서 특정한 임무를 채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능한 역활에는: 법률 지원, 자원 할당(보조금), 역량 강화, 그룹 간 조정, 기술 개발, 멘토링, 평가 서비스 등이 있습니다. 보조금 할당과 같은 일부 역활에는 법인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다른 역할은 법인의 지원을 받지 않고 전적으로 자원 봉사 기반인 허브에서 수행할 수 있습니다.

종류

허브 소개(동영상)

지역 허브

지역 허브는 특정 지역의 활동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두고 활동, 도구 및 정보를 맥락화할 수 있습니다. 권장 사항에는 "적절한 리소스가 제공되면 가맹 단체들의 역량 구축, 지식 이전 및 조정에 협력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될 것입니다."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주제별 허브

주제별 허브는 글로벌 주제별 영역을 지원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주제별 허브는 권장 사항에서 "공동의 목표가 해결책의 혜택을 받는 운동 전반에 걸쳐 전문화 및 작업을 허용"하는 것으로 설명됩니다. 주제는 또한 초기의 초안에서 "전문 분야"를 의미하는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일부 언급된 예로는 "옹호, 역량 강화, 파트너십, 연구 등"이 있습니다.

언어 허브는 지역 및 주제 허브를 보강해야 합니다. 언어는 분산된 커뮤니티(동일한 언어 공유) 간의 다양성, 포용성 및 대표성을 보장하는 데 가장 중요합니다. 언어는 아마도 이 운동의 가장 중요한 문화적 요소일 것입니다. 한 국가에 여러 공식 언어가 있고 한 언어가 여러 국가에서 사용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행사

허브에 관한 행사 목록:

Date Event
27 11월 2021 허브 공동 창작 워크숍 (행사 페이지)
21 2월 2022 - 4 3월 2022 허브 대화 (결과 요약, 기타 언어)
12 3월 2022 허브 글로벌 대화 (행사 페이지)
24 6월 2022 - 26 6월 2022 허브 글로벌 대화 (행사 페이지)

역사

2010년 6월에 Iberocoop라는 위키미디어의 첫번째 지역 협력체가 생겼습니다. 이후 동아시아, 동남아시아 및 태평양 지역 조직, 위키미디어 중부 및 동부 유럽과 같은 여러 그룹들이 추가로 조직되었습니다.

2018-20 전략 프로세스에서는, 지역 및 주제별 허브에 대한 제안은 자원 할당 작업 그룹(지역 허브에 대한 초기 권장 사항 초안 참조: 첫 번째 초안, 두 번째 초안, 허브: 1, 2) 및 역할 및 책임 작업 그룹("Quotiel" 모델의 일부로 처음 제안됨, 기존 지역 협력에서 영감을 언급한 권고 초안 참조) 을 통해 이어갔습니다.

옹호역량 구축 실무 그룹은 각각 옹호 및 역량 구축을 위한 전담 조직에 대한 권고 초안을 개발했습니다(초안, 옹호 1, 2, 역량 구축 1, 2 참조). 그런 다음 가능한 주제 허브의 예로서 통합되었습니다. 권장 사항은 2020년 5월 최종 버전에 도달하기 전에 세 번째 반복 초안에서 수정되었습니다. 전체 제안은 나머지 전략 권장 사항과 함께 위키미디어 재단 이사회의 승인을 받았습니다.

전략 전환 동안 허브에 대한 몇 가지 논의가 있었습니다. 11월, 12월1월에 허브 논의에 대한 보고서를 참조하세요.

같이 보기